폐기물을 주원료로 그린수소를 생산하는 발전소가 태백에 준공되었다.
https://www.h2news.kr/mobile/article.html?no=8756
플라즈마 토치를 활용한 그린수소 생산, 그린사이언스
[월간수소경제 성재경 기자] 차를 타고 영동선 철길을 지나 언덕을 오른다. 대한석탄공사 장성광업소의 철암선탄장이 눈에 든다. 철암역 바로 뒤편이다. 탄가루가 묻어 까맣게 변한 비포장도로
www.h2news.kr
세계 최초라는 수식어를 갖다 붙이고 있지만 새로운 기술은 아니다. 친환경 바람을 타고 오래전 사그라든 시장의 관심이 다시 집중되면서 관련 뉴스들이 기사화되고 있다.
플라즈마 가스화 기술, 고효율 청정에너지원으로 각광
http://www.namhae.tv/news/articleView.html?idxno=25179
플라즈마 가스화 기술, 고효율 청정에너지원으로 각광 - 남해신문
친환경에너지타운의 의미와 조성 취지에 대해서는 이해가 됐다 하더라도 ‘플라즈마 가스화’ 기술에 대한 궁금증은 여전하다.
www.namhae.tv
세상에 없던 수소 생산기술…비용 절반으로 '뚝'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082587081
세상에 없던 수소 생산기술…비용 절반으로 '뚝'
세상에 없던 수소 생산기술…비용 절반으로 '뚝', 윈테크에너지, 신기술 상용화 돌입 GS칼텍스에 15년간 수소 공급
www.hankyung.com
이봉주 개발 ‘플라즈마 발전소’ 전국이 주목
https://www.h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452256
이봉주 개발 ‘플라즈마 발전소’ 전국이 주목 - 경북도민일보
이봉주 한동대학교 교수가 개발한 플라즈마 발전소 기술이 전국 각 지자체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각종 생활쓰레기를 수소에너지로 만들 수 있는데 쓰레기 태우는 등의 문제로 골머리를
www.hidomin.com
남부발전, 울산에 청정에너지 생산공장 짓는다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083120611
남부발전, 울산에 청정에너지 생산공장 짓는다
남부발전, 울산에 청정에너지 생산공장 짓는다, 1600억 투입 2024년 완공 플라즈마 활용해 전기 생산
www.hankyung.com
심지어 GS그룹이 과거 오랫동안 상업화에 공들이다가 사업성이 없어 청산했던 경험도 있는 분야다. 조금만 검색해도 관련기사가 줄줄이 나온다.
GS에너지, ‘미래 먹거리’ 플라즈마 폐기물 사업 접는 속사정
과거와 시장환경이 많이 변했으니 기회가 있을거라고 본다. 그린사이언스를 2021년 인수한 글로본을 검색해봤다.
회사의 주력 사업은 화장품이다. 그린사이언스를 인수하면서 친환경분야로 다각화를 시도하는걸로 보인다. 아직 사업보고서를 제대로 들여다보기 전이라 회사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하지만 4월부터 태백 발전소가 상업적 가동을 시작했다고 하니 2021년에는 관련 손익이 연결 재무제표에 반영될 것이다.
시가 총액도 적은데다 아직 사업적 능력을 증명한게 없으니 크게 투자하긴 어렵다. 2021년 그린사이언스파워 감사보고서를 확인하고 들어가면 늦으려나.
전기생산, 수소생산, 폐기물처리 세가지 사업에서 이익이 발생할텐데 어느정도일지 감이 안 온다.
'투자 아이디어 > 에너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속화되는 오일메이저 기업들의 '脫석유' 전략 (0) | 2021.07.25 |
---|---|
쏟아지는 탈원전 정책 비판 기사 (0) | 2021.07.22 |
에너지원별 발전량 현황 정리 (0) | 2021.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