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생활/글쓰기,맞춤법 9

한겨레 신문 김창석 기자의 글쓰기 연재

한겨레 신문 기자 김창석님의 글쓰기에 관한 링크들을 모아놨다. 한겨레교육문화센터 '언론사 입사준비 아카데미' 강의를 맡고 계신다고 한다. https://www.hani.co.kr/arti/SERIES/160/title1.html 김창석 기자의 ‘글쓰기 필독서’ www.hani.co.kr https://www.hani.co.kr/arti/SERIES/694 김창석 기자의 서술형 논술형 대비법 www.hani.co.kr https://h21.hani.co.kr/arti/COLUMN/27/?cline=2 김창석의 오마이논술 : 칼럼 : 한겨레21 한겨레21 h21.hani.co.kr 하나하나 읽으면서 글쓰기 공부를 해보려 한다.

강원국의 직장인의 말하기·글쓰기(10회 연재분)

요즘 부서장에게 직접 보고할 일이 많아지다보니 글쓰기에 부쩍 관심이 생겼다. 아래 링크는 대통령 비서실 연설비서관 출신 강원국씨가 연재한 직장인 글쓰기 내용이다. 수시로 참고하려고 링크를 걸어뒀다. 꾸준히 연습해야지. 강원국의 `직장인의 말하기·글쓰기` ① http://news.bizwatch.co.kr/article/opinion/2016/11/24/0036/facebook 강원국의 `직장인의 말하기·글쓰기` ② http://news.bizwatch.co.kr/article/opinion/2016/11/24/0035/facebook 강원국의 `직장인의 말하기·글쓰기` ③ http://news.bizwatch.co.kr/article/opinion/2016/11/24/0034/facebook 강원국의 `..

대통령과 함께 읽는 보고서

참여정부 시절 정책결정과정과 국정운영의 투명한 공개를 위해 대외적으로 공개한 보고서를 모아 놓은 사이트이다. 대한민국 최고의 두뇌집단이 작성한 보고서라 수시로 참고하면 좋을 듯 하여 첨부함. 대통령과 함께 읽는 보고서 링크 http://archives.knowhow.or.kr/policy/presidentialReport 정부부처 업무보고 https://www1.president.go.kr/GovReport2019 현 정부에서도 보고서를 공개하고 있지만 예전처럼 내가 직접 특정 보고서를 선택할 수 있는 방식이 아니다. 보고서를 주제별/안건별로 볼 수 있으면 좋겠다.

'~간에'와 '~간의'의 쓰임

다음 문장의 경우 '~간에'와 '~간의' 쓰임의 차이가 있는지요? '산업체와 학교간의 긴밀한 협력 체제' '산업체와 학교간에 긴밀한 협력 체제' 둘 어떤 것이 맞는 표현인가요? ---------------------------------------------------- 안녕하십니까? 보이신 문장은 ‘산업체와 학교 간’이 관형어가 되어, 뒤에 놓인 명사구 ‘긴밀한 협력 체제’를 수식하는 구조입니다. 따라서 ‘산업체와 학교 간’이 관형어 구실을 하게 하는 조사 ‘-의’를 붙여 ‘산업체와 학교 간의 긴밀한 협력 체제’와 같이 쓰는 것이 적절합니다. 출처 국립국어원 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216&qna_seq=14805

~든, ~던

든과 던 , 든지와 던지 의 차이점을 알고싶어요~!~! ------------------------------------------ 안녕하십니까? 든지01 「조사」 ((받침 없는 체언이나 부사어, 또는 종결 어미 ‘-다, -ㄴ다, -는다, -라’ 따위의 뒤에 붙어)) 어느 것이 선택되어도 차이가 없는 둘 이상의 일을 나열함을 나타내는 보조사. ≒든가01. ¶ 사과든지 배든지 다 좋다./함께든지 혼자서든지 잘 놀면 되었지./걸어서든지 달려서든지 제시간에만 오너라./오랫동안 고시 공부를 하다 보면, 다 그만두고 싶다든지 밖으로 뛰쳐나가고 싶다든지 하는 충동이 하루에도 열두 번씩 든다./공부를 잘한다든지 운동을 잘한다든지 무엇이든 하나는 잘해야 한다./나는 스트레스를 받으면 닥치는 대로 음식을 먹는다든지 내리..

-하게 되다 vs -하다

-하게 되다 vs -하다 의미가 다를까요? 국어에서 성과를 올리게 되면서 vs 성과를 올리면서 이 둘의 의미 차이가 있나요? 전자가 뭔가 진행의 이미가 더해진거같은데 이게 영어가 아니라 원래 국어에서도 그렇게 보는 건지가 궁금해서요! ------------------------------------------------------------------ 안녕하십니까? '-게 되다'의 '되다'는 '어떤 상황이나 사태에 이르다'의 의미를 나타냅니다. 즉 '하게 되다'는 '하는 상황이나 사태에 이르다'의 의미를 나타내어, 그러한 사건이 피동적으로 일어난 것임을 나타낸다 하겠습니다. 즉 '하다'와 '하게 되다'의 의미가 같지는 않습니다. 예를 들어 '나는 숙제를 했다'와 '나는 숙제를 하게 되었다'의 문장이 나타..

00년 7월 1일 "부" 사직

일반적으로 퇴사나 퇴직을 하는 경우 사직서에 "oo년 7월 1일부로 사직을 합니다."로 많이 기재를 합니다. 이 경우 ~일"부"의 의미가 궁급합니다. 질문 1) "부"의 뜻이 한자인지 아니면 한글인지 궁금합니다. 질문 2) 다음으로 7월 1일부 사직의 경우 7월 1일까지 근무를 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 안녕하십니까? ‘7월 1일부’에 쓰는 ‘-부’는 접사 ‘-부(附)’입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날짜를 나타내는 명사 또는 명사구 뒤에 붙어)) ‘그 날짜에 효력이 발생함’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로 등재되어 있습니다. 문의하신 표현 ‘7월 1일부로 사직을 합니다’는 ‘7월 1일에 효력이 발생하다’를 의미하므로, ‘..

~할게요 vs 할께요

내가 뭔가를 하겠다는 말을 쓸 때, "할게요"와 "할께요" 중 어느 쪽이 올바른 표기인가요? ------------------------------------------------------------------------ 안녕하십니까? 질의하신 경우, 어간 ‘하-’ 뒤에 ‘-ㄹ게’ 형태의 어미가 붙으므로, ‘할게요’로 씁니다. -ㄹ게 「어미」 ((받침 없는 동사 어간이나 ‘ㄹ’ 받침인 동사 어간 뒤에 붙어)) (구어체로) 해할 자리에 쓰여, 어떤 행동을 할 것을 약속하는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다시 연락할게. 출처 국립국어원 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216&qna_seq=55462 출처 경향신문 http:/..